Page 7 - 한비21 (제12호) 2025년 3월 7일
P. 7

MAR.7. 2025           7






                     5 페이지에 이어


        을 악용'했다는 짧막한 문장 속

        에는 여론을 호도하는 많은 의

        미가 내포되어 있다고 보여진다.

          첫째, 사정기관 출신 대선 후

        보자의 집중견제로 온갖 사법
        리스크에  둘러쌓인  야당  당

        대표는 2022년 4월 대선에서

        0.73%p (24만 7077표)차이로

        패했다. 상식적으로 선관위에 대

        한 불신과 부정선거 의혹, 선거

        결과 불복은 0.73% 차이로 진

        야당 당 대표와 야당에서 제기
        되었어야 함에도 그들은 선거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민심은 물론 보수언론마저 등 지 못했다. 기밀성을 유지하기

        과를 받아들이고 깨끗이 승복 돌린 尹의 독선적 오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함이라고 하지만, 비상계엄에

        했다.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실 국민들이 보기에는 야당 반대하는 이들도 분명 존재하기

          둘째, 왜 집권여당은 2024년 4 의 입법 폭거나 대통령의 역대  에 이마저도 싫어 소수의 인원

        월 치루어진 22대 총선에서 다 최다 거부권 행사나 매한가지이 만으로 준비하고 강행한 것으로

        수 의석을 얻지 못했나? 대다수  다. 민생은 외면한채 정파싸움 보여진다.

        국민들로부터 선택을 받지 못 에만 함몰되어 국민들로 하여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4년 11월 5일은 미국 대선

        한 것에 대한 반성과 성찰이 필 정치에 염증을 느끼게 만든다.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이었고 도널드 트럼프가 승리

        요했음에도 대통령과 집권여당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尹대통령은 환영해주지 않는 했다. 12월 3일 한국에서 비상
        은 그렇질 못했다. 선거 결과에  다는 이유만으로 시정연설은 물 계엄 선포가 있었고, 트럼프 대

        대한 책임은 민심을 얻은 야당 론 국회개원식에도 불참했다. 대 통령의 임기는 2025년 1월 20

        이 아닌 민심을 얻지 못한 '대통 리인단측 설명대로 예산삭감이  일 시작되었다.

        령과 집권여당'에 있다. 다수 의 문제였다면, 국회개원식과 시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른 국가도 아닌 그토록 오매

        석은 그만큼 국민적 지지가 있 연설을 통해 더 적극적으로 야 불망(寤寐不忘)하고 추앙하는

        었다는 의미이므로, 대리인단의  당의 일방적 예산 삭감의 부당 미국의 권력이양기에 尹대통령

        이러한 표현은 '국민을 경외시  함이나 절박함을 호소했어야 했 은 왜 비상계엄을 선포했을까?
        하지 않는 태도'로 보여진다.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. 尹대통령은 취임 이후 야당 아마도 우리가 짐작만 하고 있

          셋째, 야당이 다수 의석을 얻 과 당대표를 범죄자·간첩 취급 는 이유에서인지도 모른다.

        었다 하더라도 이를 하나된 목 하며 만남 자체를 거부해왔다.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문제는 사전에 인지되고, 협의

        소리로 규합하는 것은 또 다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치는 대화와 타협으로 풀어 되지 않은 기습적인 계엄령에

        문제, 즉 리더십의 문제이다. 여 나가야 하는 것임에도, 尹대통 미국은 尹대통령과 한국에 대

        야 모두 당론과는 별개로 의원  령은 정치적 노련함도, 대화 의 해 어떤 생각을 할까? 尹대통령

        개개인이 저마다의 소신을 가지 지도 없이 '내맘대로 못한다'며  은 계엄령이 실패할지 몰랐을

        고 다른 주장이나 의사를 피력  결국 비상계엄 선포라는 카드를  것이다. 또 트럼프가 당선될지

        할 수 있다. 尹대통령측 주장대 꺼내 들며 '무소불위(無所不爲)  몰랐을 것이다. 그리고 자신이
        로 '야당의 (일방적인) 입법폭거' 권력 독재'를 노렸다.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현직 대통령으로써는 처음으로

        라면 국민들은 대통령과 집권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비상계엄 선포는 집권 여당 소 구속될지도 몰랐을 것이다. 어

        당에 더 많이 힘을 실어주었을  속 대부분의 의원들과 행정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페이지에 계속

        것이다.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국무위원들 조차 사전에 인지하
   2   3   4   5   6   7   8   9   10   11   12